본문 바로가기

논문

제1 저자 논문_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_난청 예방 위한 웹앱 개발 및 사용자 디자인 연구

한국디지털학회논문지에 2022년 8월 제1 저자로 게재하였던 논문입니다. 한국HCI학회지에 게재하였던 캡스톤 논문과 주제는 같지만, 앱 개발과 사용자 실험을 완료한 논문입니다. 과정을 간략하게 설멍하자면, 어른은 들을 수 없지만 어린 아이들이 들을 수 있는 고주파 소음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소음성 난청 등을 예방하기 위해 소리의 방향성을 나타내주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Anvil이라는 웹앱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앱을 개발하였고 해당 알고리즘을 웹앱에 업로드하였습니다. 논문과 사용자 인터뷰를 기반으로 소리의 방향성에 대한 초기 시각화 디자인을 선정한 다음, 여러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웹앱 사용 실험을 하여 그 결과를 통계적인 수치 및 정성적인 인터뷰로 종합하였습니다.

초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주파 소음에 아이가 노출될 경우, 소음성 난청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 성인은 가청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의 소음을 인지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를 소리 크기 비교 알고리즘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간편하게 찾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사전 실험을 통해 바 차트와 그러데이션을 활용한 초기 디자인을 선정한 후, 사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고주파 소리의 발생 위치를 찾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다수의 사용자가 고주파 소음이 발생하는 위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이 서비스를 통해 들리지 않는 고주파 소음을 충분히 찾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또한, 향후 디자인과 기능을 친숙하고 신뢰성 있게 개선하고 사용법을 단순화하는 방안을 논의하여 더욱 편하게 소리를 찾을 수 있는 향후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When a child is exposed to high-frequency noise, problems such as noise-induced hearing loss may occur, but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adults to recognize noise at a higher frequency than the audible frequency. To solve this problem, an application was developed to easily find a location where high-frequency noise occurs with a smartphone through the algorithm that compares the size of the sound wave. After selecting the initial design using bar charts and gradations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users conducted an experiment to find the location of high-frequency sound using the applic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 plurality of users were able to find a location where high-frequency noise occurr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 service received a positive response that it was possible to find an audible high-frequency noise. In addition, we intend to develop future versions of applications that can find sound more conveniently by discussing ways to improve future designs and functions familiarly and reliably and simplify usage."